부사절이란 문장 내에서 부사의 역할을 하는 절을 의미한다.
부사절은 크게 6가지로 나뉘며 시간, 조건, 이유, 목적, 결과, 양보로 나뉜다.
시간 부사절 접속사
when ~할때
as ~할때
while ~하는동안
until ~할때까지
before ~전에
since 이후로, 이래로
once ~하는 대로
after 후에
as soon as ~하자마자
조건 부사절 접속사
if 만약 ~이라면
unless 만약 ~이 아니라면
providing (that) ~한다면
in case ~에 대비하여
이유 부사절 접속사
because ~이기 때문에
as ~이기 때문에
since ~이기 때문에
now that ~이니까
양보 부사절 접속사
although 그럼에도 불구하고
though 그럼에도 불구하고
even if 그럼에도 불구하고
even though 그럼에도 불구하고
while 반면에
결과 부사절 접속사
so ~ that 너무 ~해서 ~하다.
목적 부사절 접속사
so that ~하기 위해서
in order that ~하기 위해서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 접속사가 이끄는 절에서는 미래의 내용을 말해도 현재시제를 사용해야 한다.
ex) when she arrives home, we will meet her 그녀가 집에 도착하면 우리가 그녀를 만날 것이다.
이때 주의할 점은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일 때 부사절안에 미래시제가 아닌 현재시제를 사용한다는것이다.
만약 when이 부사절이 아니라 형용사절이나 명사절로 사용됬을 때는 when절안에 미래시제를 사용 할 수 있다.
부사절 접속사는 말 그대로 접속사이므로 절과 절을 연결해주지만 부사절 접속사 뒤에는 주어와 동사가 생략가능한 경우가 있기에 부사절 접속사가 오고 나서 분사구문이나 형용사, 명사, 전치사구가 오면 주어와 동사가 생략됬구나 하고 이해하면 된다.
'영어 > 영어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 부정사 또는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타동사 (0) | 2020.01.22 |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0) | 2019.06.30 |
부사로 착각하기 쉬운 형용사 (0) | 2019.06.24 |
헷갈리기 쉬운 자동사와 타동사 (0) | 2019.06.21 |
자동사와 타동사에 대해 알아보자(5형식) (0) | 2019.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