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Waver
책 리뷰, 경제, 영어, 등등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2020. 1. 22. 15:18 영어/영어 문법

 

 1.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타동사

 

 주로 미래지향적이고 계획, 기대, 소망, 결심등을 뜻한다.

want, wish, plan, decide, desire, promise, determine, hope, like, expect, agree, offer, afford, manage, pretend, dare, tend, fail demand, choose, hesitate등등

 

 

 2.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타동사

 

 주로 고려, 회피, 중지, 연기, 포기, 금지등을 뜻한다.

 

delay, defer, put off, enjoy, stop, give up, consider, contemplate, anticipate, allow, forbid, permit, avoid, resent, detest, mind, suggest, keep, appreciate, forgive, favor, miss, excuse 등등

 

 

 3. To부정사와 동명사 모두를 목적어로 취하는 타동사

 

 목적어의 형태에 따라서 의미가 달라지기 때문에 해석을 통해 의미에 맞는 목적어를 사용해야 한다.

 

 

                 To 부정사 목적어              동명사 목적어
try ~하려고 애쓰다 시험 삼아 해보다
forget 앞으로 할것을 잊다 했던 것을 잊다
regret ~하게 되어 유감이다 했던 것을 후회하다
remember  할 것을 기억하다 했던 것을 기억하다
stop ~하기 위해서 멈추다 ~하는 것을 멈추다
mean ~하려고 의도하다 ~을 의미하다

 

 

 4. To부정사와 동명사 모두 사용이 가능하지만 의미차이가 없는 동사

 

 begin, start, continue, attempt, intend, commence

posted by Waver
2019. 7. 5. 22:14 영어/영어 문법

 

 부사절이란 문장 내에서 부사의 역할을 하는 절을 의미한다.

부사절은 크게 6가지로 나뉘며 시간, 조건, 이유, 목적, 결과, 양보로 나뉜다.

 

시간 부사절 접속사

when ~할때 

as ~할때

while ~하는동안

until ~할때까지

before ~전에

since 이후로, 이래로

once ~하는 대로

after 후에

as soon as ~하자마자

 

 조건 부사절 접속사

if 만약 ~이라면

unless 만약 ~이 아니라면

providing (that) ~한다면

in case ~에 대비하여

 

 이유 부사절 접속사

because ~이기 때문에

as ~이기 때문에

since ~이기 때문에

now that ~이니까

 

 양보 부사절 접속사

although 그럼에도 불구하고

though 그럼에도 불구하고

even if 그럼에도 불구하고

even though 그럼에도 불구하고

while 반면에

 

 

 결과 부사절 접속사

so ~ that 너무 ~해서 ~하다.

 

 목적 부사절 접속사

so that ~하기 위해서

in order that ~하기 위해서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 접속사가 이끄는 절에서는 미래의 내용을 말해도 현재시제를 사용해야 한다.

ex) when she arrives home, we will meet her 그녀가 집에 도착하면 우리가 그녀를 만날 것이다.

 이때 주의할 점은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일 때 부사절안에 미래시제가 아닌 현재시제를 사용한다는것이다.

만약 when이 부사절이 아니라 형용사절이나 명사절로 사용됬을 때는 when절안에 미래시제를 사용 할 수 있다.

 

 

 부사절 접속사는 말 그대로 접속사이므로 절과 절을 연결해주지만 부사절 접속사 뒤에는 주어와 동사가 생략가능한 경우가 있기에 부사절 접속사가 오고 나서 분사구문이나 형용사, 명사, 전치사구가 오면 주어와 동사가 생략됬구나 하고 이해하면 된다.

 

 

 

 

 

 

 

 

 

 

 

 

 

posted by Waver
2019. 6. 30. 19:49 영어/영어 문법

 

 

to부정사는 명사, 형용사, 부사로 사용되는데 이번에 알아볼것은 부사적 용법이다.

부사적용법에도 목적, 결과, 원인, 이유, 조건, 형용사수식으로 나뉜다. 대부분의 부사적용법은 목적이다.

 

 

 1. 목적

 ~하기 위해서라고 해석되며 to부정사의 부사적용법 중 가장 많이 사용된다.

ex) He buy a computer to play the game.

 그는 게임을 하기 위해서 컴퓨터를 샀다.

 

 

 

 2. 결과

 to부정사의 의미가 결과로 해석된다.

ex) She grew up to be a scientist.

 그녀는 자라서 과학자가 되었다.

이때 to부정사는 결과의 의미이므로 ~하기 위해서 로 해석하면 안되고 되다로 해석해야한다.

 

 

 

 3. 원인 

주로 감정을 나타내는 동사나 형용사 뒤에 와서 그 원인을 나타내는데 사용한다.

감정 형용사 : ashamed, pround, satisfied, happy, upset, anxious, sorry, glad, amazed, angry, afraid, shocked

ex) He was very angry to hear the voice.

 그는 그 목소리를 듣고 매우 화가 났다.

감정 형용사인 angry(화난)의 원인으로 to hear을 해석하면 된다.

 

 

 

 4. 이유

 주로 상대방을 판단하는 문장 뒤에 사용되는데 그러한 판단을 한 이유를 나타낸다.

ex) She must be poor to have such a old house.

 그런 낡은 집을 가지고 있는것을 보면 그녀는 가난할 것이다.

 낡은 집을 가지고 있는 것을 가난함의 판단의 이유로 해석하면 된다.

 

 

 

 5. 조건

 주로 주절이 가정법으로 사용된 문장에서 to부정사가 ~라면이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ex) To listen to his music, you would have thought him a nice musician.

그의 음악을 듣는다면 너는 그를 훌륭한 음악가로 생각했을 것이다.

 To listen을 듣는다면으로 해석해주면 된다.

 

 

 6. 형용사 수식

 난이 형용사 + to부정사

난이도를 나타내는 형용사와 to부정사가 결합되어 사용된다.

난이형용사: easy, difficult, enough, hard, impossible

ex) lt is difficult to play the piano

 피아노를 연주하는것은 어렵다.

posted by Waver
2019. 6. 24. 20:45 영어/영어 문법

일반적으로 뒤에 ly를 붙이면 부사이지만 형용사인 경우도 있기에 형용사와 부사를 구별하는 문법문제에 자주 나온다.

 

 

 그렇다면 ly가 붙었음에도 형용사인 단어들을 알아보자.

ugly(못생긴)

orderly(질서 있는)

friendly(친절한)

lovely(사랑스러운)

likely(가능성 있는)

costly(값이 비싼)

lively(활기 넘치는)

brotherly(형제의)

cowardly(비겁한)

womanly(여성스러운)

fatherly(아버지같은)

motherly(어머니같은)

gentlemanly(신사다운)

manly(남자다운)

miserly(구두쇠인)

neighborly(이웃사람같은)

sisterly(언니같은)

 

 

 ex) She is so lovely (그녀는 매우 사랑스럽다.)

   

Energy is both costly and limited (에너지는 비싸고 제한적이다.)

   

The meeting was orderly (집회는 정숙했다.)

   

They are very friendly with each other(그들은 친한 사이이다.)

   

Terrorism is the most cowardly and cruel act of provocation(테러는 도발의 가장 비겁하면서도 잔인한 행동이다.)

 

      

 

 

 

 

 

 

 

 

posted by Waver
2019. 6. 21. 17:18 영어/영어 문법

 

 

 

 헷갈리기 쉬운 자동사와 타동사를 확실히 구별해 수동태 관련 문법문제를 틀리지 말자

 

 

 lie - lay - lain    눕다, 놓여있다, 있다.          -> 자동사

 lie - lied - lied   거짓말하다.                     -> 자동사

 lay - laid - laid  놓다, 설치하다, 깔다, (알을) 낳다. -> 타동사

 

 

 wait - waited - waited 기다리다.  -> 자동사

await - awaited - awaited ~을 기다리다 -> 타동사

 

 

 rise - rose - risen 오르다, 솟다 -> 자동사

 arise - arose - arisen 발생하다, 유발되다, 생기다 -> 자동사

 raise - raised - raised 들어올리다, 일으키다 -> 타동사

 

 

 fall - fell - fallen 떨어지다, 빠지다, 넘어지다 -> 자동사

 fell - felled - felled (나무를) 베어 넘어뜨리다 -> 타동사

 

 

 seat - seated - seated 앉히다, 앉다, 좌석이 있다. -> 타동사

 set - set - set 놓다, 하다. -> 타동사

 

 

 

 

 

 

 그렇다면 문제로는 어떻게 나올까? 크게 세가지 포인트로 나눌 수 있다.

1. 자동사를 수동태로 사용한 경우

2. 단어 스펠링이 비슷한 걸 이용해 뜻이 다른 단어를 넣는 경우

3. 타동사인데 전치사를 넣고 목적어를 넣는 경우

 

 

 문제를 풀어 보자

 

 Many people are trying to buy a house before consumption tax (        ) next year.

1. rise

2. risen

3. is raised

4. is arisen

 

 

 내년에 소비세가 오르기 전에라는 의미이므로 답은 3번이 되야한다. raise는 타동사이므로 be pp형으로 쓸 수 있다. 1번은 s가 안붙었고 2번은 동사자리이므로 안되고 4번은 자동사고 의미도 다르다.

 

 

 

 The deliveryman (         ) the package in the house.

1. lay

2. laid

3. is laid

4. lain

 

 

 

 빈칸이 동사자리고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1번과 4번은 탈락 3번은 수동태로 사용했지만 뒤에 목적어가 있고 의미상 배달원이 상자를 놓다이므로 탈락  정답은 2번이다. 

 

 

posted by Waver
2019. 6. 18. 17:34 영어/영어 문법

 

 

 동사는 문장에서 서술어(술어) 역할을 하는 품사이며 자동사타동사로 나뉜다.

이때 자동사타동사는 5가지로 나뉘게 된다.

 

 

 

 1형식 

주어(S) + 완전자동사(V)

ex) He laughed.

 완전자동사: go, live, come, laugh, shine, stay

주어와 동사만으로 뜻이되기 때문에 뒤에 목적어나 보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1형식 문장에서는 수식어구로 주로 부사나 부사구가 쓰인다. 물론 수식어구이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한것은 아니다.

 

 

 2형식

주어(S) + 불완전자동사(V) + 주격보어(S.C)

ex) He is a teacher

 불완전자동사: 감각동사(look, smell, feel, sound, taste), be동사, stay, get

주어와 동사만으로 뜻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주어의 상태를 설명하는 주격보어를 사용해준다.

이때 주격보어에는 주로 형용사나 명사가 들어가는데 주격보어가 명사일 경우 주어와 동격관계이고 형용사일 경우 주어의 상태나 성질을 나타내 준다. 당연히 보어자리에 부사가 올 수 없으니 부사가 오면 틀린다.

 

이렇게 1형식과 2형식동사가 자동사이고 자동사는 동사의 동작이 주어에만 미치기 때문에 목적어가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자동사+전치사+목적어로 자동사가 목적어를 쓸때는 앞에 전치사를 붙여서 쓸 수 있다.

 

 

 3형식 

주어(S) + 완전타동사(V) + 목적어(O)

타동사는 뒤에 목적어를 가지며 자동사와는 달리 전치사가 없이 바로 목적어를 가진다. 이때 목적어 자리에는 명사, 대명사, 동명사, to부정사, 명사구/절이 온다.

완전타동사:discuss, take, see, reach, survive, join

ex) He loves me

 

 

 4형식

주어(S) + 타동사(V) + 간접목적어(l.O) + 직접목적어(D.O) 

목적어를 두개 갖는 타동사를 사용하며 간접목적어는 ~에게 직접목적어는 ~을 / 를 이고 4형식 타동사는 주로 수여동사를 사용한다.

수여동사:give, tell, make, find, send, offer

ex) He told her the story

 

 

 5형식

주어(S) + 불완전타동사(V) + 목적어(O) + 목적보어(O.C)

이때 목적보어자리에는 보어니까 명사, 형용사가 올수 있고 to부정사, 분사, 원형부정사가 올 수 있다.

5형식동사: call, elect, name, make, 사역동사(make, have, let), 지각동사(see, watch, notice, hear등)

ex) She call him Smith

 

 

 이렇게 5가지 형식을 알고 있어야 영어 독해를 하는데 어려움이 없다. 독해를 할때에는 수식어구, 즉 문장의 필수성분이 아닌것들(전치사구, 콤마콤마로되있는 문장, 부사절등) 을 ( ) 이렇게 표시해주며 주어와 동사부터 찾자. 문장의 필수적인 요소(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가 아닌 것들을 제외하고나면 복잡한 문장도 훨씬 간단하게 보일 것이다.

 

 

 

 

예문을 보자.

Although Kant was the first to construct an elaborate account, motivated by broad philosophical considerations, of how morality could be rationally binding even if it doesn't bring happiness, essential parts of the Kantian scheme had already been conceived and deployed by others.

 

칸트가 정교한 설명을 구축한 최초의 사람일지라도 ,,, 뒤에 콤마가 이렇게 나오면 해석이 막히고 잘 안될 것이다. 

이럴때는 콤마콤마로 되있는거는 그냥 묶어버리고 주절의 주어와 동사부터 빠르게 찾아보자.

Although Kant was the first to construct an elaborate account,(motivated by broad philosophical considerations), (of how morality could be rationally binding even if it doesn't bring happiness), essential parts of the Kantian scheme had already been conceived and deployed by others.

 자 Although 부사절과 수식어구를 일단 버려두고 초록색깔로 칠해둔 주절을 먼저보자. 주절의 주어와 동사를 먼저 찾아보면 essential parts of the Kantian scheme 이 주어이고 had been conceived 이 동사이다. 과거완료로 쓰였다.

 그럼 이제 주절을 해석해보자.

-> 칸트의 설명 체계중 중요한 부분들은 이미 다른이들이 생각하고 사용되었었다. 

결국 저 긴 문장의 거품들을 걷어내고 주절을 찾고 해석하면 위의 한문장이 나온다. 

작가가 하고 싶은 말은 바로 저말인것이다. 저 말을 더 꾸며주고 싶어서 저렇게 길게 수식어구들이 붙은 것이다. 

그렇다고 수식어구를 해석할 필요가 없다거나 아예 중요하지 않다는 말은 아니다. 독해를 할 때 주절의 주어와 동사에 우선순위를 둬서 먼저 해석하고 그다음 수식어구를 해석하는 것이 더 낫다는 뜻이다. 

물론 영어를 잘해서 영어를 영어 그대로 받아들이고 굳이 뒤에서부터 해석할 필요없고 어려운 영어시험을 볼 필요가 없으면 이렇게 하지 않아도 된다. 

 

 앞의 전체 문장을 최대한 풀어서 해석해보면 이렇게 나온다.

 비록 도덕이 행복을 주지는 않을 지라도, 어떻게 도덕이 이성적으로 구속력이 있는지에 관한 정교한 설명을 넓은 철학적 고찰로 구축한 최초의 사람이 칸트일지라도, 칸트의 설명 체계중 중요한 부분들은 이미 다른이들이 생각하고 사용되었었다. (초록이가 주절) 

해석하고 보니 뭔 소린지 잘 모르겠다면 주절이 핵심이니 주절을 보자. 

 

 

 

posted by Waver
prev 1 2 next